오늘은 2023년 공무원 봉급표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올해의 공무원 기본급에 대한 인상은 1.7% 상승으로 나타났습니다. 거기에 고위 공무원단과 정무직 공무원 및 4급 이상 공무원에 대해서는 2022년 수준의 봉급을 지급하며 5급 이하는 1.7%의 상승이 적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공무원의 보수와 함께 간단한 소비 경제 사안에 대한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목차
공무원 보수와 일반적인 봉급에 대한 비교
매년 공무원 보수가 민간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조사합니다. 2021년의 봉급에 대한 조사도 완료되었습니다. 다만 사유는 알 수 없지만 이 보고서에서 민간 임금 접근률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2020년 기준 공무원 보수의 민간 임금 접근률은 90.5% 입니다. 공무원 급여가 민간기업에 비해 10%가량 적다는 의미입니다. 그 전에는 86% 정도였는데 큰폭으로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공무원 급여가 크게 늘었다기보다는 최근 2년간 호흡기 질병 이슈로 사기업 내에서의 임금이 떨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2023년 공무원 봉급표와 인상률에 대하여
2023년 공무원 급여 인상률은 1.7% 입니다. 최근 5년간 공무원 평균 급여 인상률은 약 1.9% 입니다. 최근 10년간 2.43%, 15년간 2.36%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들의 급여는 그 나라의 경제 상황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 사안을 결정하는 임금에 대한 등락폭은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2009년과 2010년 동결됐습니다. 그리고 1998년에는 IMF가 찾아와 한 때 오히려 임금이 삭감되거나 동결되던 부정적인 시기가 있었습니다. 공무원 월급 때문이 아니라 최근 이런 분위기가 공무원 경쟁률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7급 공무원의 경쟁률이 4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소식도 들리기 때문입니다.
2023년 공무원 봉급표 확정
2023년 공무원 급여표와 확정급여표에는 처우개선률 1.7%가 반영됐습니다. 가장 인원수가 많은 9급공무원 1호봉의 월급여 기본급 액수는 177만 원입니다. 또한 8급 1호봉 등급은 1805,100원이고 7급 1호봉 등급은 196만2,3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현재 소비자 물가와 체감되는 상승률
물가가 오르면 인건비 또한 오르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월급 빼고는 전부다 그대로 오르고 있는 상황이 아이러니합니다. 물가가 오르면 월급이라도 더 크게 올라야 걱정할 필요가 없을텐데 말입니다. 월급이 물가보다 적게 오르면 실제로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습니다. 2021년 보유자 인플레이션은 2.5% 입니다.
또한 2022년 이후 인플레이션은 3~5%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4~6%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으면 실질임금 상승률이 낮다는 얘기 입니다. 이는 공무원뿐 아니라 민간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해당되기에 더욱 힘든 실정입니다.
'여러 기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 요금제 비교 이것만 알면 끝 (0) | 2023.02.01 |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제대로 알아보고 가세요 (0) | 2023.01.30 |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방법과 전망에 대하여 (1) | 2023.01.30 |
생애최초 주택구입 취득세 면제 자세히 알아봅시다 (0) | 2023.01.30 |
2023년 최저임금 및 최저시급 완벽정리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