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이미 슈퍼딜리버리가 어떤곳인지는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쉽게 말해 국내의 도매꾹이나 셀러 오션 같은 곳이죠.
국내 도매 사이트를 보면 사실 도매라 말하기도 힘들만큼 제조사나 도매처가 소매까지 장악하고 있기에 개인이 뭘 사입해서 소매로 유통하는게 거의 불가능 하지만, 일본은 다릅니다.
일본은 도매상과 소매상의 구분과 상도덕이 확실하기 때문에 도매상이 직접 소매에 뛰어들어 가격으로 출혈 경쟁을 일으킨다거나 하는 일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처럼 내가 필요한 물건 혹은 소매를 하고 싶은 물건을 도매 가격으로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최대의 일본 제품 도매 사이트가 바로 '슈퍼 딜리버리(Super Delivery)'입니다.
문제는 일본에는 독특한 상업 신용 문화가 있어서 아무리 온라인이라고 해도 가입 절차가 까다롭고, 가입 했다 하더라도 모든 물건의 도매 가격을 맘대로 볼 수 있는것도 아닙니다. (실제 일본 내에 오프라인 도매상인 판비 테라우치나 셀프 오니시 같은 곳은 가입 절차가 굉장히 빡세죠...)
그래서 오늘은 슈퍼딜리버리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겪을만한 짜증나고 복잡한 절차들을 쉽게 쉽게 알려드리려고 글을 씁니다.
슈퍼딜리버리, 회원 가입 전에 알아두어야 할 3가지
- 사업자, 사무실, 쇼핑몰(온라인의 경우)이 있어야 한다.
- 배송대행지(배대지)가 있어야 한다.
- 가입 후 거래 신청을 해야 한다.
(하지만, 위 3가지 전부 없어도 가입이 가능한 방법을 이번 글에서 알 수 있습니다.)
슈퍼 딜리버리 회원 가입 방법
먼저 회원 가입을 위해서는 실제로 운영중인 사업자와 사무실 그리고 온라인의 경우 쇼핑몰의 URL이 있어야 합니다. 일본이라는 나라는 꽤나 아날로그 적이고 깐깐하고 신뢰를 중요시 하기에 이런 디테일한 부분을 전부 준비해두어야 합니다. 당연히 사업자가 없으신 분들은 개인 사업자를 하나 내는것도 좋겠지만.. 해외 사이트이다 보니 인증을 100% 깐깐하게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업자 없이도 어느 정도 편법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먼저 슈퍼딜리버리 회원가입 링크 입니다. 여기로 들어간다고 저한테 뭐 떨어지는거 없습니다. (https://www.superdelivery.com/)
들어가서 회원 가입 버튼을 누르고, 가입을 위한 이메일 주소를 적으면 아래 사진과 같이 표시되며 내 메일로 회원 가입을 위한 메일이 발송 됩니다.
다음으로 본인의 메일 계정으로 들어가서 가입 링크를 눌러보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1. 회사명 :
회사명은 말 그대로 본인의 사업자명을 기입하면 됩니다. 사업자 등록증에 등록된 그 회사명 입니다. (사업자가 없을 경우 본인이 원하는 or 추후에 개인 사업자 등록 때 사용할 회사명을 적습니다.)
2. 점포명 :
점포명은 회사명과 별개 입니다. 삼성이 회사명이고 갤럭시 라는 브랜드가 있듯이 스토어명은 꼭 회사명과 같을 필요가 없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스토어명이나 가지고 있는 스토어 이름을 적어 줍니다.
3. 판매사/점포 국가 :
위에서 사업 소재지에 한국을 선택했으면 여기에도 자동으로 한국이 뜹니다.
4. 판매사/점포 주소 :
판매사/점포 주소는 영어 주소로 적으면 되는데, (N 영문 주소 변환) ← 여기 들어가서 본인 사업장이나 자택 주소를 적으면 자동으로 변환되니 복사/붙여넣기 하셔서 쓰면 됩니다.
5. 대표자 이름 :
영어로 본인 이름을 작성하면 됩니다.
6. 판매사/점포 전화번호 :
본인 핸드폰 번호에서 맨 앞에 010을 빼고 (+82 10 - 0000 - 0000) 이런 형태로 작성하면 됩니다.
7. 판매 형태 :
사업자가 없다면 그냥 인터넷/SNS 판매로 하시면 됩니다.
8. 웹사이트 URL :
스토어가 있으면 그 주소를 넣으시고, 없다면 본인 블로그 주소를 넣으시면 됩니다.
9. 담당자 이름 :
'대표자 이름과 동일 누르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필수적인 인적사항 기입은 거의 끝났습니다. 이제 배송 대행지와 점포 소개를 작성할 시간인데요. 아마 처음 수입을 하거나 해외 사입을 하는 경우 배송대행지를 선택한다는게 참 복잡하게 느껴지실텐데요. 그런데 막상 해보면 별로 어려울건 없습니다. 그럼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슈퍼딜리버리 내에서 제휴하는 배송 대행지가 있는데, 편하게 여길 쓰셔도 됩니다. 하지만 왠만하면 배송 중 문제가 생기거나 문의 사항이 있을 때 한국인 담당자와 소통할 수 있고 빠르게 일처리가 가능한 한국 배대지를 쓰는 것이 가급적으로 좋습니다.
배송 대행지 선택하는 법
배송 대행지는 굉장히 많은 종류의 업체가 있습니다. 업체마다 배송 대행 수수료나 운영 혜택이 달라서 꼼꼼히 찾아볼 수도 있지만 저는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그냥 가장 자주 보이는 재팬타임몰에 가입했습니다.
재팬 타임몰에 가입하면 슈퍼딜리버리에 회원 가입에 기입할 수 있는 일본 내에서의 주소를 발급해주는데요.
이렇게 배송 대행지에서 제공해주는 주소를 아래 슈퍼 딜리버리에 적어 넣으면 되는데요. 이 부분이 참 짜증이 많이 납니다. 배대지에서 알려주는 주소를 적어 넣을 때, 도도부현은 어디에 써야 하는지, 시구군, 번지는 어디에 써야 하는지, 그밖의 주소는 또 무엇인지 말이죠.
잘못 적으면 큰돈 들여서 사입한 물건이 배송 문제로 누락 되거나 오배송이 이루어질수도 있어서 대충 적어넣고 끝낼 수도 없는 부분 입니다.
그러니 처음 하시는 분들은 아래 제가 적어놓은 단계를 그대로 따라하시기 바랍니다.
1. 배송지 종류별(수출 대응자) :
'배송대행지 등 업자'를 선택 합니다.
2. 배송대행지 사명/위탁 업자명 :
저는 재팬타임몰이니 영어로 'JAPANTIMEMALL'을 적어주었습니다.
3. 주소 :
재팬 타임몰에서 제공한 주소를 차례대로 적어 줍니다.
(↓ 왼쪽이 슈퍼딜리버리 입력 칸이고 오른쪽이 배대지 정보 입니다.)
지역 - 大阪府
시/구/군 - 도도부현
도로명/번지 - 시구군 번지
건물명 - 그밖의 주소
전화번호 - 전화번호
이 순서대로 적어 넣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기입이 완료 되었다면, 본인 스토어의 타겟 연령층과 연매출 등을 간단하게 적은 후 확인 과정을 거친 다음 회원 가입이 완료 됩니다.
회원 가입을 하고 바로 이용할 수 있는게 아니라 심사 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본인이 사업자 등록이 없더라도 무엇 하나 대충 작성하지 않고 정말 진지하게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처럼 확실하고 정확하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가입 거절 사례는 아직 보지 못했지만, 일본은 한국이나 중국 처럼 대충 아무거나 입력하고 회원 가입 버튼을 누르면 전부 승인해주는 곳이 아닙니다.
특히 '셀프 오니시(Self onishi)' 같은 의류 전문 오프라인 도매상의 경우 로비에서 회원 가입을 해야 입장이 가능한데, 가입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하고 있다면 쇼핑몰 주소는 무엇인지 물어보고 그 즉시 노트북으로 쇼핑몰에 접속한 다음 판매중인 제품의 갯수는 몇개인지, 실제 판매가 이루어지는 정상적인 사이트인지 결제 전 단계까지 전부 클릭해보는 등 정말 엄격하게 판별한 후에 임시 출입 카드를 발급해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원 가입 다음 단계인 스토어 정보 입력이 정말 중요합니다.
스토어에 대한 정보 기입
이제 거의다 끝났습니다. 스토어 정보만 기입하면 가입이 완료되는데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매장 사진, 가게 소개, 인터넷 상점 URL 이렇게 3가지 입니다.
1. 매장 사진 :
꼭 오프라인 매장을 가지고 있을 필요도 없고, 실제로 수 많은 온라인 셀러들은 오프라인 매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1인 소호 셀러라 할지라도 제품 재고를 가지고 있을 본인 자취방 정도는 있습니다.
물론 정말 사업을 0부터 처음 시작하거나 사업 보다 도매로 싸게 일본 제품을 직구 하고 싶으신 분들의 경우 매장 사진으로 등록할만한게 없을 수 있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인 수량이나 양에 관계 없이 제품의 사무실 사진, 창고 사진 입니다. 난 2개 전부 없는데 어떡하냐고요? 없어도 됩니다.
사무실 사진 : 간판이나 현판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셀러라도 사무실에 현판이나 명패 정도는 걸려있기 때문인데요. 비싼 돈 주고 주문할 필요 없이 미리캔버스 같은 곳에서 그럴싸한 회사 명판을 만든 뒤 a4 용지로 출력해서 집안에 방문이나 현관문에 붙여놓고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창고 사진 : 본인 집에 있는 가전 제품이라던가 택배 박스, 종이 상자 같은걸 그럴싸하게 쌓아 놓고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물건을 10개 정도 책상에 놓고 포스트잇으로 가격을 적어 앞에 붙인다음 사진을 찍는 등, 실제 스토어를 하는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은 많습니다.
2. 가게 소개 :
이 부분을 정성스럽게 쓰냐 대충 아무것도 안쓰느냐에 따라서 거래를 수락하는 기업의 수가 달라지게 됩니다. 본인이 스토어를 운영중이라면 본인의 스토어를 가장 잘 표현하는 내용을 일본어로 적어 놓습니다. 한글로 쓴 다음 네이버 파파고로 번역기를 돌려 써넣으면 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최대한 정성스럽게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3. 인터넷 상점 URL :
아까 스토어가 없다면 블로그 주소 같은걸 하나 쓰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아무 글이나 쓰는 블로그 혹은 글이 하나도 없는 허무맹랑한 블로그이면 안됩니다.
적어도 본인 집에 있는 물건들을 마치 판매중인것 처럼 사진을 찍어서 '블로그 마켓'을 운영하는 사람처럼 글을 최소 3~4개는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아니면 다이소에서 천 원 짜리 물건을 2~3개 사와서 포장을 전부 벗기고 본인이 파는 물건인 것 처럼 쓰셔도 됩니다.
(이럴 경우 블로그 글에 '다이소'를 언급하거나 다이소 로고가 나오면 절대 안됩니다. 본인이 구매했기 때문에 물건 알맹이에 대한 권리는 본인에게 있지만, 다이소 로고나 상표권 저작권에 대한 권리까지 산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한국과 중국이면 담당자가 이런거 확인도 안하겠지만, 일본은 대부분 확인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렇게 회원 가입이 완료되고 나면 2~3일 정도 후에 가입했던 메일로 승인 안내가 날라오게 됩니다.
슈퍼딜리버리에는 정말 한국 소매 시장에서도 개인이 경쟁력을 갖출 만큼 저렴하고 좋은 품질의 제품이 많습니다. 캐릭터 제품이나 일부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면 왠만한건 다 구할 수 있을 정도인데요.
잘 탐색하셔서 좋은 제품 발굴 하시거나 저렴하게 좋아하는 물건 얻어가시길 바라며 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2025年 최신 정리) (0) | 2025.03.24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혜택과 자격 까지 완벽 정리 (0) | 2025.03.11 |